[ANS약리] 니코틴 수용체 작용제 nicotinic receptor agonist, 니코틴 대체 요법 (varenicline, cytisine, nicotine)
[ANS약리] 니코틴 수용체 작용제 nicotinic receptor agonist, 니코틴 대체 요법 (varenicline, cytisine, nicotine) Major drug glasses : Plant alkaloid agonist, synthetic partial agonist 언급되는 약물 : nicotine, lobeline, cytisine, vareniclin 1. Nicotinics 개요 - nicotinic receptors (Nn/Nm) -LGIC. (ligand-gated ion channel) (cf. muscarinic RC는 GPCR이다.)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모두의 ganglia synapse에 존재한다. -skeletal m. 의 neuromuscular junct..
2021. 10. 22.
[약리] 교감신경 작용제 Direct Adrenergic agonists, sympathomimetics (교감신경계 약리)
[약리] 교감신경 작용제 Direct Adrenergic agonists, sympathomimetics (교감신경계 약리) *언급약물 : 페닐레프린, 멕소잔틴, 클로니딘, 구안파신, 알파메틸도파, 이소프로테레놀, 알부테롤, 도부타민 a1 + : phenylephrine, methoxamine a2 + : clonidine, guanfacine, a-methyldopa (false Neurotransmitter) b + : ISO(isoproterenol) b2 + : albuterol, bitolterol, formoterol, metaproterenol, pirbuterol, salmeterol, terbutaline (주로 ~nol) b1 + : dobutamine Adrenergic agonist..
2021. 10. 21.
저마그네슘혈증(hypomagnesemia), 고마그네슘혈증(hypermagnesemia) 원인과 증상, 치료법
저마그네슘혈증(hypomagnesemia), 고마그네슘혈증(hypermagnesemia) 원인과 증상, 치료법 마그네슘은 신경신호의 전달, action potential에 관여하기 때문에 조금만 정상치를 벗어나도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모든 신경, 근육의 작용에 마그네슘이 필요하며 심근작용, 효소 활성 등에도 관여한다. Mg++는 신장에서 배설과 흡수가 조절된다. 마그네슘의 50~60%는 뼈에 저장되며 45%는 ICF에 존재한다. 1%미만의 마그네슘만이 ECF에 존재한다. Mg++ 정상범위 : 1.5 ~ 2 mEq/L 1. 저마그네슘혈증(hypomagnesemia) 저마그네슘혈증의 원인은 섭취 부족, 신장에서의 과다한 마그네슘 배설, 설사로 인한 GI loss, 화상으로 인한 skin loss 등이 ..
2021. 10. 20.
저칼슘혈증(hypocalcemia), 고칼슘혈증(hypercalcemia)의 원인, 증상, 치료
저칼슘혈증(hypocalcemia), 고칼슘혈증(hypercalcemia)의 원인, 증상, 치료 대부분의 칼슘은 뼈에 저장된 상태로 혈장에 존재하는 칼슘은 1%이하이다. 칼슘은 응고인자 활성의 중요한 cofactor로 칼슘 불균형이 있으면 응고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칼슘은 근육, 호르몬, 신경의 작용에 긴밀하게 관여하는 중요한 신체 구성 요소이다. 소장에서의 칼슘 흡수는 활성화된 Vitamin D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우리 몸의 칼슘은 세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40%는 알부민에 결합되어 존재한다. 10%는 bicarbonate, phosphate 등의 음이온에 결합해 존재한다. 나머지 50%는 freely ionized form인 iCa++로 존재한다. 고,저칼슘혈증을 진단할 때 total ..
2021.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