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른손 주가 전망과 매출 구조 분석, 영화 관련주
안녕하세요, 오늘은 ‘바른손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거래량이 급증하고 많은 관심을 끌고있는 기업인 만큼 어떤 투자 요인이 있는지, 무슨 일을 해서 돈을 버는 회사인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바른손이란?
바른손(종목코드 018700)은 1985년 12월 설립되어, 현재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문화·엔터테인먼트 및 화장품 유통 전문 기업입니다. 본사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K타워에 위치해 있으며, 직원 수는 약 227명 정도입니다.

창립 초기에는 영상 관련 콘텐츠 제작, 배급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했으며, 이후 화장품 유통과 VFX(시각특수효과), 외식업 등으로 사업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왔습니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뷰티 부문에서 국내 화장품의 해외 유통 플랫폼 운영 및 유통, 문화콘텐츠 제작·배급 부문에서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VR 콘텐츠 등이 포함됩니다.
계열사로는 ‘바른손이앤에이(Barunson E&A)’가 있으며, 이 계열사는 영화·드라마·영상 콘텐츠의 제작과 배급 및 글로벌 투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바른손이앤에이는 특히 2025년 3월, 인도네시아 뮤지컬 영화 ‘랑가 앤 신타(Rangga & Cinta)’에 공동 투자자로 참여함으로써, 아시아 시장과 글로벌 콘텐츠 유통 루트를 적극 확대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해당 영화는 2002년 인도네시아 박스오피스 1위작 ‘왓츠 위드 러브?’의 리부트 작품으로 약 1,000만 달러 규모의 흥행 성과를 기록했고, 바른손은 홍콩 필름아트(Filmart)에서 해외 판매를 진행하며 해외 유통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편, 바른손이앤에이는 과거 베트남 공포 코미디 ‘돈트 크라이, 버터플라이(Don’t Cry, Butterfly)’를 통해 2024년 베니스 비평가 주간 대상과 혁신상을 수상키도 했는데, 이처럼 자체 IP를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으며 콘텐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바른손은 설립 이후 40년 넘게 문화 콘텐츠 제작과 화장품 유통을 주축으로 성장해 왔으며, 계열사의 글로벌 콘텐츠 투자사업과 결합되어 ‘멀티 콘텐츠+유통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 중입니다.
2. 기업의 수익 구조
바른손의 매출 구조는 크게 뷰티사업(화장품 유통), 콘텐츠사업(영화·드라마 등 제작 및 배급), 기타(VFX·외식 등 기타 부문) 등 세 축으로 구성됩니다.
① 뷰티사업(화장품 유통 플랫폼)
뷰티사업은 최근 바른손 전체 매출의 약 65–73%를 차지하는 핵심 수익원입니다. 2024년 말 기준 뷰티 매출 비중은 65.11%로, 2022~23년 71–65% 수준에서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주력 사업입니다.
이 부문에서는 국내 화장품 브랜드의 해외 유통을 중심으로, 중국·동남아·미국 등 주요 국가 온라인·오프라인 유통망을 통해 제품을 판매·유통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및 클린 뷰티 수요 확대로 인해 향후 연평균 약 8%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② 콘텐츠사업(영화·드라마 제작 및 배급)
콘텐츠사업은 영화 및 드라마 제작, 투자, 배급, 판권 수익을 포함합니다. 2023년 연결 기준 전체 매출 2,367억 원 중 콘텐츠 부문 매출은 약 61.5%(1,455.8억 원)를 차지했으며, 투자배급 매출까지 합치면 89.7% 수준입니다.
① 영화·드라마 제작 매출(판권 포함) ② 투자배급 수익(공동 투자 및 판권 판매) ③ 해외 시장 판매(글로벌 콘텐츠 판매권 확보) 등으로 구분되며, 특히 최근 ‘랑가 앤 신타’ 등 해외 프로젝트 투자와 ‘돈트 크라이, 버터플라이’ 등 벤츠 마켓 수상작의 성과는 글로벌 시장 공략의 핵심입니다.
③ 기타사업(VFX·외식·VR)
기타사업에는 VFX(시각특수효과), 외식사업, 외부 IP 라이선싱, VR 콘텐츠 등이 포함됩니다. 2024년 기준 매출 비중은 약 18.34%로 VFX 부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외식 및 기타 부문은 5–6% 수준입니다.
외식업은 일부 카페·레스토랑 브랜드 운영, VR 게임 및 체험 콘텐츠 기획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캐릭터 IP 라이선스 등을 통한 로열티 수익도 추가로 기대됩니다.
④ 매출 추이 및 수익성
최근 3년간 매출(별도 기준)은 ▲2022년 5,900백만 원 ▲2023년 6,490백만 원 ▲2024년 7,290백만 원(예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부문 특성상 영화 개봉 시점, 판권 판매 시기에 따라 분기별 매출 편차(계절성)가 존재하며, 뷰티 부문은 온라인 채널 확장에 힘입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 기준 영업이익은 약 13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며, 매출 총이익률은 약 25% 수준입니다. R&D투자와 마케팅 비중이 점차 확대되며, 장기적 브랜드 전략과 콘텐츠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 매출 현황 및 주요 제품군
최근 3년간 분기별 매출을 살펴보면, 영상 콘텐츠 및 캐릭터 IP 매출의 계절적 변동이 큰 편입니다. 예를 들어 흥행 영화 개봉 시기에 따라 매출이 급증하며, 비성수기에는 다소 주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대표 IP인 캐릭터 라이선스, 자체 제작 애니메이션, 그리고 공동 제작 참여 작품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자체 제작 영상 콘텐츠의 부가판권 및 상품화 사업도 포함됩니다.
4. 시장 점유율 분석
국내 영화·애니메이션 제작사 중 바른손은 중견급으로 분류되며, 특히 콘텐츠 제작 역량과 캐릭터 IP 확보 측면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산업 내에서의 점유율은 전체 제작 시장 대비 5~10% 수준으로, 특히 애니메이션과 IP 라이선싱 부분에서는 약 15% 내외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경쟁사 대비 톡톡 튀는 IP 확보 전략과 라이선스 마케팅에 기반한 성과로 풀이됩니다.
5. 주가 전망과 투자 포인트
바른손의 주가 흐름을 보면 콘텐츠 투자 성패 및 차기작 흥행 여부에 따라 단기적으로 큰 변동성을 보입니다. 그에 따라 투자자들은 작품 라인업 및 해외 판권 계약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 ✔ 투자 포인트: 기대작 개봉 일정, 공동 제작 라인업 계획, IP 라이선스 확장 여부 등
- ✔ 리스크 요인: 콘텐츠 실패에 따른 손실 부담, 부동산 경기 변동
- ✔ 중장기 관점: IP 확보 및 글로벌 라이선스 확장 통한 꾸준한 매출 다변화 가능성
종합해 보면, 바른손은 콘텐츠와 IP, 부동산 3대 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 구조를 구축했으며, 향후 글로벌 진출 및 IP 확장을 통해 추가적인 주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판단입니다.
* 본 포스팅은 투자 참고용이며, 실제 투자 시 추가적인 재무 분석과 전문가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
'투자 및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코스맥스비티아이 주가 전망, 실적 분석 -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ODM 관련주 (3) | 2025.06.23 |
|---|---|
| 센트러스 에너지 기업 분석 및 주가 전망, 미국 원자력 관련주 (1) | 2025.06.21 |
| 카카오 주가 급등하는 이유? 2025년 6월 카카오 호재 정리 (AI 관련주) (1) | 2025.06.19 |
| 비올 주식 주가 전망, 뭐하는 회사일까? - 미용 피부과 관련주 (2) | 2025.06.18 |
| 흥아해운 주식 주가 전망, 뭐하는 회사일까? - 특수선 해운업 관련주 (0) | 2025.06.17 |
댓글